본문 바로가기
취미관련/유용한정보

절에 대한 예절과 절하는 법

by 곽영전 DS3CUF 2015. 12. 21.

 

1. 절의 의미
절이란 원래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에게 공경하는 뜻을 나타내는 동작으로서 행동예절의 기본이었다.
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답배하기도 한다. 이는 비록 아랫사람이라도 그를 존중하는 대접의 표
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절의 예절에는 절을 하는 예절과 절을 받는 예절이 있는 것이다.
절은 나라와 풍습, 그리고 그들의 문화 형태에 따라 다르나, 공경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나타낸다는 점
에서 는 모두 같다. 따라서 동작 이전에 공경하는 마음을 가져야 절이 되는 것이다.
2. 절의 종류
대상에 따른 구분
ㅇ. 큰절
일방적으로 공경을 드려야 하는 대상에 대해서 하는 절.
절을 받는 사람은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된다. 폐백이나 조부모와 부모의 회갑때 드린다.
ㅇ. 평절
서로 공경해 맞절을 하는 경우이며, 절을 받을 사람이 평절을 하라고 명할 때도 있다.
같은 또래의 사람끼리 또는 윗사람에게 문안이나 세배를 할 때 행한다.
ㅇ. 반절
평절을 받는 사람이 절하는 사람을 존중해서 답배하는 절이며 가까운 친족이 아닌 성년자의 절
에는 반절로 답배한다.
횟수에 따른 구분
ㅇ. 단배
한 번 하는 절이며, 어른에게 평상시 보통하는 절이다.
ㅇ. 재배
두 번 하는 절이며, 죽은 사람의 영전이나 차례, 제사를 지낼때 하는 절이다.
ㅇ. 사배
네 번 하는 절이며, 옛날 왕에게 올렸던 절이며, 신부가 시집갈때도 했다.
3. 절하는 법
ㅇ. 공수법
공수란 어른 앞에서나 의실행사에 참석했을 때 취하는 공손한 자세로서 손ㅇ르 맞잡는 것을 말한다.
전통 절하는 예절은 모두 공수에서 시작된다. 공수의 기본 동작은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편
다음, 앞으로 모아 포갠다. 엄지손가락은 엇갈려 깍지 끼고 식지 이하 네 손가락은 포갠다.
평상시의 공수법
평상시의 공수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공수한다.
왼쪽은 동쪽이고, 동이 양이기 때문에 양인 남자는 양인 동을 나타내는 의미로 왼손을 위로하고,
오른쪽은 서쪽이고 서는 음이기 때문에 음인 여자는 음인 서를 나타내는 의미로 오른손을 위로한다.
흉사시의 공수법
흉사시의 공수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가 오른손을 위로하고, 여자가 왼손을 위로한다.
흉사란 사람이 죽은 때부터 우제가 끝날 때 까지를 말한다. 상가의 가족이나 손님, 영결식장, 상을
당한 사람에게 인사를 할 때는 흉사시의 공수를 한다.
상가에서 지내는 초우, 재우, 삼우까지의 제사는 흉사에 속해 흉사의 공수를 하지만, 졸곡부터의
제례는 흉사가 아니고 길사이므로 평상시의 공수, 즉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가
되는 공수를 한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서 옮겼습니다.

'취미관련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카 알고 사용하기  (0) 2015.12.25
6인용 야외테이블 만들기  (0) 2015.12.25
귀촌, 귀농 집짓기 20계명  (0) 2015.12.24
데크시공법  (0) 2015.12.24
제사 지내는 법  (0)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