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고 학생부군신위/현비유인 김해배씨신위...
제사란 오늘의 나를 있게한 조상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추모의 뜻으로 돌아가신날을 기리는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핵가족사회로 가족이 각지로 흩어져 살아, 형제간에도 자주 만날수없는 현실이다.
자칫 소원해지기쉬운 가족의 정을 우리는 명절이나 제사를 계기로 , 서로 만나서 조상을 추모하고 혈족의 정을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는데 ,지위를 봐도 지위에는 이름이없다. 이는 조선시대 유교의 영향에의한
반상의 신분제도와 관존민비 사상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사용해오고있다.
역사를 배우는 목적은 옛것을 앎므로서 새로운 미래를 설게하는 것일진대 옛것은 시대정신에 맞게 고쳐 더나은 삶을 살기위한것이다. 세상이 바뀌고 생활이 바뀌면 옛것도 좋은것은 이어가고 부적합것은 고쳐가는것이 우리가 해야할일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죽음과 같이 없어지는 우리들 서민의 이름을 죽어서도 유지할수있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소견을 적어 봅니다,.
ㅡ 조선조 경국대전에는 계급에따라 4대 ,3대,2대,봉제사로,일반서민은 부모제사만 모시도록 되었다고하고 갑오경장이후계급시회가 붕괴되면서 대부분 4대 봉제사로바뀌었고,1963년 가정의례준칙제정으로 기제사는 제관기준 2대까지만 모시도록되었음.
. 지위/ 현고 학생(호)부군신위/현비유인 김해배씨신위
현고-돌아가신아버지. 학생-벼슬을 못한고인에대한존칭. 부군-고인에대한존칭. 신위=영령이깃든자리.
현비-돌아가신 어머니. 유인-벼슬없는이의 부인
현재의 벼슬(관직)은 어디까지 지위에쓸까?. 일정한직위나 호가있는사람은 그벼슬이나 호를 쓰고 아닌 사람은 학생(처사)자리에 이름을 쓰고, 여자는 유인자리에 이름을쓰면 좋을것으로 생각됨.
현고 (갑돌)부군시위/ 현비김해배씨(갑순)신위
제사란 오늘의 나를 있게한 조상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추모의 뜻으로 돌아가신날을 기리는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핵가족사회로 가족이 각지로 흩어져 살아, 형제간에도 자주 만날수없는 현실이다.
자칫 소원해지기쉬운 가족의 정을 우리는 명절이나 제사를 계기로 , 서로 만나서 조상을 추모하고 혈족의 정을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는데 ,지위를 봐도 지위에는 이름이없다. 이는 조선시대 유교의 영향에의한
반상의 신분제도와 관존민비 사상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사용해오고있다.
역사를 배우는 목적은 옛것을 앎므로서 새로운 미래를 설게하는 것일진대 옛것은 시대정신에 맞게 고쳐 더나은 삶을 살기위한것이다. 세상이 바뀌고 생활이 바뀌면 옛것도 좋은것은 이어가고 부적합것은 고쳐가는것이 우리가 해야할일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죽음과 같이 없어지는 우리들 서민의 이름을 죽어서도 유지할수있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소견을 적어 봅니다,.
ㅡ 조선조 경국대전에는 계급에따라 4대 ,3대,2대,봉제사로,일반서민은 부모제사만 모시도록 되었다고하고 갑오경장이후계급시회가 붕괴되면서 대부분 4대 봉제사로바뀌었고,1963년 가정의례준칙제정으로 기제사는 제관기준 2대까지만 모시도록되었음.
. 지위/ 현고 학생(호)부군신위/현비유인 김해배씨신위
현고-돌아가신아버지. 학생-벼슬을 못한고인에대한존칭. 부군-고인에대한존칭. 신위=영령이깃든자리.
현비-돌아가신 어머니. 유인-벼슬없는이의 부인
현재의 벼슬(관직)은 어디까지 지위에쓸까?. 일정한직위나 호가있는사람은 그벼슬이나 호를 쓰고 아닌 사람은 학생(처사)자리에 이름을 쓰고, 여자는 유인자리에 이름을쓰면 좋을것으로 생각됨.
현고 (갑돌)부군시위/ 현비김해배씨(갑순)신위
'취미관련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심기와 좋은집터 (0) | 2016.01.06 |
---|---|
제사 지내는 순서 (0) | 2016.01.04 |
매실나무의 세가지 병충해 (0) | 2015.12.30 |
구기자의 수확과 건조 (0) | 2015.12.30 |
비닐하우스 자가시공법 (0) | 2015.12.30 |